로그인 마이페이지 이용안내 고객센터 서비스안내 채용정보등록 이력서등록
기업회원서비스개인회원서비스
인기검색어 : 2023 신입사원 웹프로그래머 2022 서울 2023 경력사원 신입 매니저 채용
채용정보 헤드헌팅 인재정보 커뮤니티 쇼핑몰 고객센터
회원가입아이디/비밀번호찾기
커뮤니티
외국계기업 CEO 인터뷰
외국계기업 인사팀장 인터뷰
외국계기업 취업 Q&A -진로상담
주한외국기업백서
외국계기업 취업 자료실
자유게시판
영어토론모임 KEF
외국기업취업방송 GEBS
 
외국계기업 인사팀장 인터뷰
ESG 경영, 구성원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작성자: kofenjob 조회: 1918 등록일: 2022-08-27
첨부파일: 20220419160750_uqqumfie.jpg(11.1KB)Download: 39

 

[김진규 칼럼] ESG 경영구성원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국내외를 막론하고 ESG 광풍이 불고 있다. ‘ESG’ 키워드로 국내 언론사 빅데이터 분석 결과매년 수십수백 건에 이르던 ESG의 기사가 2020년도부터(4,761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도에는 39,744, 2022년 1분기만 해도 10,163건이 언론에 노출되었다좀 더 과장하면 코로나와 정치이슈 다음으로 가히 ESG가 대세다.

 

이미 해외에서는 기업의 ESG 활동을 투자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기업은 경제적 가치 외에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지 않으면 기업경영까지 위협받게 된다. CSR 관련 이론들을 보면그 중 캐롤(Archie B. Carroll) 교수가 언급한 CSR 4단계 피라미드 모형을 자주 다루는데, 1단계는 경제적 책임(Economic Responsibility), 2단계는 법적 책임(Legal Responsibility), 3단계는 윤리적 책임(Ethical Responsibility), 4단계는 자선적 책임(Philanthropic Responsibility)을 의미한다이 모델은 ESG 경영 시대에 더 많이 거론될 것이다.

 

1단계 경제적 책임은 말 그대로 기업의 경제적 성과 창출을 의미한다기업은 생존이 최우선 과제다기업은 경쟁전략을 수립하고운영효율성을 높여 최대 이윤과 주주 수익을 극대화 해야 한다하지만 기업이 생존가치만 따지고존재가치를 따지지 않으면 환경파괴와 안전사고 문제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이를 제재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제가 바로 법적 책임이다. 2단계 법적 책임은 기업이 사회의 법망을 준수하는 것으로 명문화된 법률 규정을 지키는 것이다. 3단계 윤리적 책임은 법 준수 그 이상의 윤리적 책임의식을 의미한다기업은 사회 전체의 관습과 윤리규범에 맞게 기업을 운영하고기업시민의식을 바탕으로 환경보호와 인권보호 등 윤리경영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4단계 자선적 책임은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젝트 활동기부봉사 등 자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이처럼 ESG와 캐롤 교수의 CSR 피라미드 모형은 결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발표된 ESG 관련 연구자료를 살펴보면기업의 ESG 활동이 기업성과투자심리재무성과기업가치조세회피 등 재무적 성과와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다수 밝히고 있다또한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등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성과를 주로 다룬다투자자 관점재무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다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기업의 ESG 활동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 변화를 다루고 있다하지만 조직 구성원 입장에서 과연 ESG 경영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성과와 어떻게 연동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주요 기업들은 ESG 전담조직을 신설하는 등 ESG 경영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하지만 ESG 전담조직을 신설하더라도실질적인 ESG 개선 활동은 실무에 있는 직원들이 손과 발이 되어 움직이는게 현실이다기획팀에서는 환경경영 실천을 위한 투자계획과 환경목표를 수립해야 하고각 제조 현장에서는 기후변화 대응활동폐기물 배출량 저감활동 등 다양한 환경 개선활동과 인증을 받기 위한 행정작업들을 해야 한다인사팀은 인력변화상을 분석하고, ESG 평가 항목에 맞게 인력을 재편하는 등 다양성 확보에 나서야 한다또한 인권교육부패방지 교육 등 윤리경영 선포를 넘어 관련 교육과 신고제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기업문화팀에서는 임직원에게 사회공헌활동을 장려하고추가 프로그램을 가동해야 하며소비자와 지역사회에 걸쳐 만족도 제고를 위한 활동을 해야 한다그리고 이에 대한 실적을 관리하고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해야 한다재무관련 부서에서는 주주총회 개최 및 이사회 구성공시 업무 등 ESG 평가 항목에 따라 관리하고 운영해야 한다이처럼 기업의 ESG 경영은 임직원들에게 기존 업무 외에 추가 업무를 요구할 수 있기에이에 따른 조직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우려가 된다이와 반대로, ESG 활동에 참여도가 낮은 구성원의 경우에는 ESG 경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도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세종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지속가능(ESG)경영전공 박사과정 김진규

• 하림그룹 ()선진 경영지원실 인재개발팀장

• 주한외국기업 인사관리협회(KOFEN HR) 사무총장

 

댓글 : 0
이전글 스태츠칩팩코리아 임상현 본부장
다음글 한국아즈빌 인사 팀장, 공현정 부장 인터뷰
 
1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다이렉트결제